이 포스팅은 2021년 11월에 최초 공개된 신형 폭스바겐 전기차인 ID.5의 디자인, 제원, 가격, 국내 출시 가능성 등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ID.4에 이어 ID.5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D.4는 따로 정리를 해두었으니 링크를 타고 가셔서 비교하시면 좋습니다.
(국내 출시가 확정된 ID.4 가격, 출시일, 특징 알아보기)
1. ID.5의 제원
기본 모델 | 사륜구동 GTX 모델 | |
전장 | 4,599mm | 4,582mm |
전폭 | 1,852mm | 1,852mm |
휠 베이스 | 2,766mm | 2,766mm |
전고 | 1,613mm | 1,619mm |
이와 같은 사이즈이며 대체로 ID4와 비슷할 것으로 보입니다.
배터리와 주행거리, 모터 성능 등을 정리해보면
- 기본형부터 77 kWh 배터리가 탑재되어 트림에 따라 174마력과 204마력의 출력을 발휘합니다.
- 사륜구동 GTX 모델은 최대마력 299마력, 제로백 6.3초대로 측정되었습니다.
- 주행거리는 WLTP 기준으로 아이오닉 5보다 약 40km 많은 520km이며 GTX 모델은 이보다 적은 480km입니다. 물론 국내 출시가 된다면 주행거리는 이보다 줄어들어 출시가 될 것입니다.
(국내 출시가 확정된 ID.4 가격, 출시일, 특징 알아보기)
2. 외부 디자인
ID.5의 디자인은 외부, 내부 모두 ID.4와 흡사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기본 구륜 구동 스타일이며 쿠페형 SUV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ID.5의 디자인 세부사항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전면부의 헤드램프는 폭스바겐 전기차의 패밀리룩인 하나의 선으로 이어진 눈동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눈동자가 여러 방면으로 움직이며 밝기는 조절하는 방식으로 ID.4의 헤드램프와 동일한 기능입니다.
- 측면은 ID.4와는 대조적으로 패스트백에 가까운 루프라인으로 훨씬 더 스포티한 느낌을 줍니다.
- ID.4는 본체 하단을 검은색으로 구성하여 좀 더 SUV적인 느낌을 줬다면 ID5는 하단부까지 모두 바디 색으로 구성하여 쿠페형 SUV의 느낌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리어 램프는 전면 헤드램프와 마찬가지로 좌우로 한 줄로 이어져 있어 세련된 느낌을 주며, 램프 안에 입체적인 사각의 블록형 라이트가 탑재되어 훨씬 현대적인 전 기차스러운 디자인을 보여줍니다.
- 휠은 21인치로 ID.4.와 동일하며 충전구는 일반 주유구 타입으로 탑재되었습니다.
(국내 출시가 확정된 ID.4 가격, 출시일, 특징 알아보기)
3. 내부 디자인 및 주요 성능
내부 디자인 또한 ID.4와 매우 비슷하며 기능도 비슷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친환경을 지향하는 모델로서 스티어링 휠을 제외한 모든 소재는 대체 가죽과 재활용 소재를 사용했습니다.
- 5인치의 작은 디지털 클러스터와 12인치의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었습니다.
- 기어 노브는 센터 콘솔이 아닌 칼럼식으로 LCD 클러스터 옆에 붙어있는 게 매우 특이한 점입니다.
- ID.4처럼 3D 증강현실 HUD 탑재로 앞 차와의 간격, 속도, 방향 등을 나타내어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 사륜구동 GTX 모델은 일체형 스포츠 시트를 선택해 조금 더 차별화된 스포티한 멋이 추가되었습니다.
4. 국내 출시 가능성
폭스바겐 ID.5는 2021년 11월에 공개되어 이미 유럽에서는 사전 예약 및 판매가 진행 중인 모델입니다. 북미에는 출시가 되지 않았으며 국내에도 출시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ID.4의 국내 공급 물량이 1,300대인 것에 반해 2022년 4월에 진행된 사전예약에서 이미 2천 건이 넘은 예약률을 보여 현재 물량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 맞춰서 ID.4와 더불어 ID.5의 국내 출시도 유력한 상황입니다. 국내 출시가 된다면 2023년 상반기에 출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출시가 확정된 ID.4 가격, 출시일, 특징 알아보기)
5. 출시 가격
기본 탑재배터리가 ID.4보다 큰 만큼 독일 기준 출시 가격은 꽤나 높은데요, 기본 모델은 6,000만 원 초반에서 시작하며 사륜구동 GTX 모델은 7,300만 원부터 시작합니다. 자동차 값이 다소 높게 책정되는 유럽이라고 해도 꽤나 비싼 가격임은 확실해 보이는데요, 국내에 출시가 되려면 이보다 더 가격 경쟁력을 갖추어 출시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