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기타 유용한 정보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물류대란 비상

by 산골산 2022. 6. 7.

화물연대는 오늘 새벽 0시부터 안전 운임제 폐지 철회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였습니다. 정부가 바뀌고 나서 처음으로 일어난 대규모 총파업인데요 조합원 2만 5천 명과 화물 노동자 상당수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물류대란, 물가상승의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화물연대파업-사진1
화물연대파업

이에 경찰은 화물연대의 불법행위가 예상되는 항만, 물류터미널, 산업단지 등 주요 물류거점에 경찰 인력을 배치하고 순찰을 강화하고 있으며 화물차주들의 정상적인 운송 방해, 출입구 봉쇄, 차량 파손 등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을 보였습니다.

 

 

화물연대파업-사진2
화물연대파업

이에 국토교통부는 비상 수송 대책을 가동하기로 하였으며 6일부터 2 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 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군 위탁, 국토교통부 소속 차량 가동, 인력운용 등의 대처를 하고 있으며 물류 수송현황과 화물연대의 동향을 파악하면서 대화를 위한 노력 또한 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필요 시 노동계 등과의 물밑 접촉을 통해 사태 악화를 방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화물연대파업-사진4
화물연대파업

화물연대는 2018년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법 개정과 함께 일몰제로 도입된 안전 운임제 폐지 철회 등을 요구하며 경유값 폭등으로 인해 안전 운임제 없이는 생계유지가 곤란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안전 운임제의 기한과 대상 확대를 위하여 국토교통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이 밖에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 노동자 권리 보장을 추가로 요구하였습니다.

 

 

택배 배차 문제로 인하여 미발송 및 지연 발송 물건들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하이트진로의 이천 및 청주공장의 소주 출고량은 평균 수준의 59%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 문제로 일부 편의점들은 하이트진로의 소주 발주를 제한하고 있으며 이 사태가 빨리 해결되지 않을 시 소주 대란이 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멘트와 레미콘 업계도 운송이 지연되며 피해액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시멘트와 레미콘은 건설 자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사기간과 건설 자재 비용의 상승으로 인하여 건축주와 시공사의 피해도 점점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