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컴퓨터, 모바일, 기기, 자동차

쌍용 토레스의 후속작 토레스 전기차(U100) 출시 정리

by 산골산 2022. 6. 26.

쌍용 토레스의 사전예약 시작부터 멋진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엄청난 사전 예약률을 보이는 토레스의 후속 전기차 모델 출시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토레스 전기차의 코드명은 U100으로 2023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있는데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진 정보는 거의 없지만 몇 가지 알려진 사실을 토대로 토레스 전기차의 출시 전망을 예측해보겠습니다.

토레스-사진
쌍용 토레스

 1. 비야디(BYD)사와의 LFP배터리 탑재

쌍용차는 지난해 12월에 전 세계 자동차 회사 시가총액 3위의 기업으로 성장한 비야디(BYD)와 협력 관계를 맺고 토레스에 탑재할 LFP배터리 개발을 진행한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LFP 배터리란 리튬 인산철을 주원료로 쓰는 배터리로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삼원계 배터리(리튬, 코발트, 니켈 같은 금속을 원료로 쓰는 배터리)에 비해 배터리의 집적이 낮고 밀도가 낮아 주행거리 증가에는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비야디사의 LFP배터리가 주목받고 있는데 그 이유 몇 가지를 살펴보면

  • 최근 비야디가 LFP 배터리를 주력으로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유럽으로 수출한 비야디사의 전기차 모델에서는 유럽 기준 500~600km 초반까지 주행거리가 나오고 있으며 국내 기준으로 환산해도 400 중반 ~ 500km 초중반 사이의 주행거리로 환산됩니다.
  • 또한 LFP배터리는 300도 이상의 고온과 260%의 과충전에도 화재나 폭발 반응이 없어 유럽 진출에 유리합니다.
  • 최근 아이오닉 5의 화재 사고로  전기차의 화재 위험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여 LFP 배터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또한 리튬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 가격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습니다.

비야디(BYD) 사의 가성비 전기차 씰(Seal)  정보 알아보기

 

비야디(BYD)사의 가성비 전기차 씰(Seal)의 출시일, 가격

비야디(BYD)는 중국 최대의 전기차 회사로 2003년에 설립되어 현재 도요타와 폭스바겐을 제치며 시가총액이 한화로 무려 180조에 이르는 대형 전기차 회사입니다. 이 비야디에서 테슬라 모델 3에

wydyeh3.tistory.com

2. 예상 제원(코란도 이모션)

U100의 구체적인 제원은 밝혀진 바가 없으나 코란도 이모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는 점을 토대로 볼 때 코란도 이모션과 거의 흡사하게 나올 것으로 보이며 코란도 이모션의 제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61.5 kWh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탑재로 최대 주행거리 307km
  • 최대 190마력, 최대 토크 36.7
  • 100 kWh 급속 충전 시 80% 충전까지 33분 소요

위에서 볼 것은 최대 주행거리의 문제입니다. 아이오닉 5의 최대 주행거리는 429km, 기아 EV6의 주행거리는 475km 테슬라 모델 Y는 511km로 주행거리에서 경쟁력이 매우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를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나온다면 전기차 시장에서 주행거리의 단점을 보완하기란 절대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3. 토레스 전기차의 주행거리

현재 알려진 토레스 EV의 배터리 탑재는 LFP 배터리 탑재로 완충 시 주행거리가 320km 정도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토레스는 전기차는 기존 엔진과 변속기를 위한 내연기관 전용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모터와 배터리가 올라가는 구조에는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낮은 주행거리는 토레스 전기차의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되는데요. 위에서 언급했듯이 높은 기술력의 LFP배터리 탑재가 필수적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희망적인 소식은 테슬라도 올해 1분기 생산한 전기차의 절반 가량을 LFP 배터리를 탑재하였고 포드, 폭스바겐 같은 유명한 자동차 업체들도 LFP 배터리를 탑재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으로 볼 때 LFP 배터리를 탑재하는 토레스 전기차 또한 플랫폼의 불리함을 이겨내고 높은 주행거리를 확보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4. 토레스 전기차의 출시 전망

현시점에서 경쟁 전기차 모델들의 주행거리가 400km에서 최대 800~900km까지 출시 예정인 것으로 봤을 때 주행거리의 확보는 가장 큰 과제일 것입니다. 토레스는 멋지고 터프한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기 때문에 BYD사와의 협력을 통해 배터리 등 전기차 핵심 부품의 안정적인 수급과 기술력의 장착이 이루어진다면 디자인, 가격경쟁력, 스펙 등 많은 부분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