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기타 유용한 정보

2022년 전기차, 수소차 보조금 총정리(국가, 지자체 보조금)

by 산골산 2022. 7. 1.

정부에서는 자동차의 탄소 배출로 인한 대기오염을 줄이고자 전기차와 수소 차등의 저공해 자동차의 구매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구매자에게 국가 보조금, 지방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는데 2022년 달라진 보조 금액과 기준에 대해서 총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보조금 지원 대상 확인하는 방법
  2. 2022년 전기차 보조금 지급 세부 기준
  3. 2022년 수소차 보조금 지급 세부 금액
  4. 2022년 지자체별 전기차, 수소차 보조금 정리
  5. 보조금의 신청 과정 및 절차

 

보조금 지원 대상 확인 방법

전기차나 수소차를 구매하려고 하시는 분은 자신이 구매하려는 차량이 보조금 지원대상인지, 보조 금액은 얼마인지 알아보고 그에 맞는 예산을 짤 수 있습니다. 알아보는 방법은

  •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www.ev.or.kr)에 접속합니다.
  • 상단 배너 '구매 및 지원' 란에 마우스를 갖다 대고 '무공해차 구매 보조금 지원'을 클릭합니다.
  • 클릭하면 현재 전기차량의 기종들과 그에 맞는 보조금액이 상세하게 나와있으니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2022년 전기차 보조금 지급 세부 기준

2022년에는 전년 대비 보조금 지급 기준 가격이 조금 낮아졌는데요, 전기차 보조금은 차량에 따른 구분과 차종, 용도에 따른 구분으로 나눠지는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량 가격에 따른 구분

2021년까지는 차량 가격 6,000만 원 까지 보조금이 100% 지급되었으나 2022년에는 차량 가격이 5,500만 원 미만에서 보조금을 100% 지원합니다. 또한 5,500만 원 ~ 8,500만 원까지의 차량 가격에서는 보조금이 50%를 지원받고, 차량 가격이 8,500만 원 초과 시 보조금 혜택은 받지 못합니다.

차종 용도에 따른 구분

  • 전기 승합차(차종별 세부 금액은 무공해차 누리웹에 접속 후 확인)
    • 중형: 최대 5,000만 원
    • 대형: 최대 7,000만 원
    • 어린이 통학차량 시 500만 원 추가 지원
  • 전기 화물차(차종별 세부 금액은 무공해차 누리웹에 접속 후 확인)
    • 경형: 최대 1,000만 원 지원
    • 소형: 최대 1,400만 원 지원
    • 소상공인, 차상위계층 구매 시 10% 추가 지원
  • 초소형 전기 화물차
    • 차종 상관없이 600만 원 정액 지원, 단거리 배달, 도심 내 관광 등의 영업용으로 구입할 경우 50만 원 추가 지원
  • 초소형 전기 승용차
    • 차종 상관없이 400만 원 정액 지원, 단거리 배달, 도심 내 관광 등의 영업용으로 구입할 경우 50만 원 추가 지원
  • 전기 택시
    • 차량의 보조금 금액에 200만 원을 추가 지원하며 차상위 계층 구매 시 10% 추가 지원

2022년 수소차 보조금 지급 세부 금액 정리

수소차는 전기차에 비해 지원금액이 월등히 많습니다. 다만 현재 지원 대수가 굉장히 적고 충전소 등 인프라가 충분하게 구축되지 않아 사람들이 많이 구매하지는 않습니다. 수소차의 보조금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수소차-보조금액
수소차 보조금액

  • 수소 승용은 현대자동차 넥쏘가 있고 국고 보조금 2,250만 원을 지원받습니다.
  • 수소 화물은 현대자동차의 엑시언트 수소 전기트럭 윙바디가 있고 국고 보조금 2억 5천만 원을 지원받습니다.
  • 수소 승합은 현대자동차의 일렉시티 FCEV가 있으며 국고 보조금 1억 5천만 원을 지원받습니다.

2022년 전기차, 수소차 지방 보조금 정리

전기차, 수소차와 같은 저공해 자동차는 국고 보조금 외에 지방 보조금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금액이 상이한테 그 이유는 전기차의 구매가 활성화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보조금이 상대적으로 높고, 전기차 구매가 많은 지역은 보조 금액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22년-전기차-수소차-지자체-보조금
2022년 전기차 수소차 지자체 보조금

보조금 신청 과정 및 절차

  • 전기자동차 구매 계약(구매자 > 자동차 제조사) →
  •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신청서 접수(자동차 제조사 > 지방자치단체) →
  • 전기 자동차 구매 지원 대상자 선정 통보 →
  • 차량 출고 및 등록(자동차 제조사 > 구매자) →
  • 출고 등록 10일 이내에 전기차 구매 보조금 신청 접수(자동차 제조사 > 지방자치단체) →
  • 보조금 지급(지방자치단체 > 자동차 제조 수입사)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전기차 수소차는 보조금을 지급받기에 사용 의무기간이 존재합니다. 24개월 미만 사용할 경우 사용 개월 수를 차감하여 나머지 보조금액을 환수하므로 24개월 이상 운행을 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